본문 바로가기
2024

상식적인 지식을 얻고자 읽은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2권

by MyEngram 2025. 1. 18.

1. 프롤로그

 

상식과 지적인 대화를 하고자 읽기 시작한 책으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2권을 다 읽게 되었다.

상당히 넓고 깊은 인문학의 지식을 쉽게 풀어서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어려운 주제이지만 어느 정도 읽히기는 했다.

그러나 학창시절에 역사, 사회, 정치, 과학등의 교과목에 흥미가 없었던 나는 읽기 어려운 주제라서 술술 보다는 꾸역꾸역 읽게 되어 조금은 힘든 독서가 된것 같다.

작가 채사장는 인문학에 있어서 어떤 문제든 대화할 수 있게 돕기 위해 가장 쉬운 인문학 입문서를 쓰고 싶었다고 한다.

작가님의 좋은 인상처럼 어려운 주제를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자상하고 재미있게 이야기해 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대략 1, 2권 모두 읽는데 50시간정도 걸리지 않았나 싶다.


 

2. 책의 내용 훑어보기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이하, 지대넓얕)

1권에서는 "역사, 경제, 정치, 사회, 윤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각 주제별 간략한 내용을 보면.....

  • 역사
    • 역사는 시간에서 출발하며, 시간은 앞으로만 가게 되어 있다.
    • 공급과잉의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땅을 개척해 간다.
    • 식민지를 개척하기 위한 세계 대전의 시작과 경제 대공황도 시작이 된다.
    • 미국의 자본주의와 소련의 공산주의 대립 시작
  • 경제
    • 네 개의 경제체제가 존재한다.
      • 초기 자본주의, 후기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공산주의
    • 시장의 자유와 정부의 개입에 대한 생각
    • 무엇이 공산주의이고 무엇이 사회주의 인가
  • 정치
    • 경제 체제를 무엇을 할 것인가 민주주의 속의 보수와 진보
    • 보수와 진보의 이론적 구분과 현식적인 구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민주주의, 독재 엘리트주의, 자유민주주의,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형태
  • 사회
    • 역사, 경제, 정치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
    • 개인과 사회의 이익이 충돌할때 누구의 편에 설 것인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 전체주의는 개인이 비윤리적 행위에 눈감게 하는 이기주의와 전체주의
    • 부유층의 누진 과세를 부여하여 세금을 높이는 것은 전체주의적인 폭력인가
  • 윤리
    • 윤리란 무엇인가
      • 사전적 정의는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 윤리적 판단은 실제 세계와 무관하게 존재한다.
    • 주어진 의무를 고려할 것인가, 미래의 결과를 고려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의무론과 목적론
    • 윤리적이고 정의로운 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하이에크와 롤스

2권에서는 "진리, 철학, 과학, 예술, 종교, 신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 진리
    • 진리란 무엇인가, 절대적이고 보편적이며 불변하는 것
  • 철학
    • 세 가지 중심의 개념
      • 절대주의, 상대주의, 회의 주의
    • 고대철학의 대표주자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 중세 철학은 교부 철학과 스콜라 철학으로 나뉨
    • 근대 철학의 대표주자
      • 데카르트, 베이컨, 칸트, 니체
    • 현대 철학의 대표주자
      •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실존주의
  • 과학
    • 과학의 역사와 고대, 중세, 근대 과학에 대한 낙관과 근거
    • 과학의 대표주자
      • 뉴턴, 아인슈타인
  • 예술
    • 예술적 진리에 대한 입장으로 훌륭한 작품은 어떤 점이 훌륭한가
    • 시대별 미술의 특징
      • 고대, 중세, 르네상스, 초기 근대, 후기 근대, 현대
    • 오늘날의 미술은 예술의 주체를 흔든다.
  • 종교
    • 인간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을 종교의 진리에서 찾을 수 있을까
    • 종교의 구분
      • 절대적 유일신교와 상대적 다신교
    • 절대적 유일 신교란?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 상대적 다신교란? 힌두교, 불교, 디베트불교
  • 신비
    • 죽음의 순간에 대한 연구와 철학적 입장
    • 죽음 이후의 가능성
      • 무 : 시간의 단절
      • 영생 : 시간의 지속
      • 윤회 : 시간의 반복
      • 영원회귀 : 시간의 동일한 반복

 

3. 책의 핵심 내용 인용&정리

 

딱 찝어서 핵심 내용이라는게 없는 것 같다.

책의 모든 내용이 다 핵심 내용이고, 좋은 지식이 되기 때문이다.

시대적인 흐름을 따라 각 주제별 이야기를 즐겁게 읽는 것이 책의 핵심이지 않을까 싶다.


 

4. 마무리

 

어려운 주제를 쉽게 설명하기에 전반적인 상식을 얻기에는 좋은 책임이 분명하다.

나의 무지함을 깨닫게 해주고, 넓은 시작과 시각을 갖게 해준 책 인것 같다. 아마도 이책도 삼국지처럼 다시 읽으면 읽을수록 새로움이 다가올것 같다.

앞으로 시간을 두고 한번 더 읽어 보려고 한다.